소소한 정보를 나누는 블로그입니다.

건강

기립성 저혈압 빈혈과 차이, 원인, 예방법

dotoriguma 2022. 1. 26. 18:34
반응형

 순간 핑~ 도는 '기립성 저혈압'은 고혈압보다 오히려 무섭다고 한다.

기립성 저혈압이 무엇인지, 빈혈과 다른 점,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 및 예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기립성 저혈압이란

누워있거나 혹은 앉아 있다가 갑자기 몸을 일으킬 때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할 때를 말한다.

 

 

 

기립성 저혈압과 빈혈의 차이점

둘의 증상은 어지럽다는 것이 비슷하다. 하지만 빈혈은 혈액 속 적혈구가 부족한 현상이고, 저혈압은 혈압 자체가 낮아지는 이상에서 오는 현상이라 엄연히 둘은 다르다.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

일어날 때 중력으로 인해 하체에 물렸던 혈액이 일시적으로 심장과 뇌까지 도달하지 못해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원인이 다양한만큼 치료 약물도 다양하므로, 증세가 빈번하게 나타나면 신속히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기립성 저혈압의 대표적인 원인 4가지]

1. 심근경색, 심근염, 부정맥 등 심장기능이 저하된 경우

2. 항고혈압제/정신질환 치료제 등 약물에 의한 발생

3. 당뇨병, 만성 알코올 중독증, 류머티즘 질환 같은 만성 질환

4. 칼륨의 심한 부족이나 부신 기능 이상의 대사성 질환

 

 

기립성 저혈압 예방하는 법

1. 아침에 몸을 일으킬 때 천천히 심호흡하면서 일어나기

2. 튼튼한 혈관을 위해 머리를 위쪽으로 유지하는 유산소 운동 꾸준히 하기

3. 규칙적인 식사영양소 골고루 섭취하기

4. 탈수를 유발하고 혈관을 확장시키는 음주 자제하기

5. 장시간 서있어야 하는 경우 압박 스타킹 또는 발목 조여주는 양말 착용하기

 

반응형